공감과 존중의 다문화세계시민교육

교육과정

> 교육과정 > 한국어 학급 > 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편제
영역 총시수 내용
한국어교육 385 한국어 집중 교육
한국문화교육 249 한국 문화 이해 교육
동아리 104 학생별 동아리 활동
진로교육 30 진로탐색교육
시간표 운영(안)
  시간
1교시 09:10~09:50(40´)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2교시 10:00~10:40(40´)
3교시 10:50~11:30(40´) 한국문화
점심 11:30~11:50(20´) 점심시간
4교시 11:50~12:30(40´) 동아리 동아리 동아리
및 진로
동아리 동아리
5교시 12:40~13:20(40´) 한국문화 한국문화 - 한국문화 한국문화
6교시 13:30~14:10(40´)

영역별 지도 계획

한국어(KSL)교육
목표
  •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함양
영역 성취기준
듣기 학교 및 일상생활과 관련된 기초적이고 일상적인 내용의 짧은 대화에 참여하여 상대방의 말을 듣고 이해할 수 있다.
말하기 학교 및 일상생활과 관련된 기초적이고 일상적인 내용의 짧은 대화에 참여하여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다.
읽기 한글 및 기본 어휘를 정확하게 읽을 수 있다.
쓰기 한글 및 기본 어휘를 정확하게 쓸 수 있다.
학급별 성취 기준
학급 성취기준
해누리
  • 한글의 자·모음(이중모음, 겹자음)을 읽고 쓸 수 있다.
  • 받침이 있는 글자(겹받침)를 읽고 쓸 수 있다.
  • 학교생활과 관련된 기초 어휘 250개를 듣고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 학교생활과 관련된 기초 어휘 250개를 의미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달누리
  • 한글의 자·모음(이중모음, 겹자음)을 정확하게 읽고 쓸 수 있다.
  • 받침이 있는 글자(겹받침)를 정확하게 읽고 쓸 수 있다.
  • 학교 및 일상생활과 관련된 기초 어휘 350개를 듣고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 학교 및 일상생활과 관련된 기초 어휘 350개를 의미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별누리
  • 짧은 문장을 정확하게 읽고 쓸 수 있다.
  • 학교 및 일상생활과 관련된 기초 어휘 500개를 포함한 문장을 듣고 이해할 수 있다.
  • 학교 및 일상생활과 관련된 기초 어휘 500개를 활용하여 자신의 의사를 문장 수준으로 표현할 수 있다.
내용
  • 한국어능력 진단-보정시스템 활용 및 한국어 구술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 개인별 맞춤형 한국어 교육 운영
  • 동화 구연, 챈트, 보드게임 등 다양한 교수방법 활용 한국어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 향상
  • 학생들의 한국어 능력 수준에 맞는 학급 구성 및 수준별 맞춤 학습
기본 교재
  •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저학년 의사소통1)
  •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고학년 의사소통1)
  • 중·고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의사소통1)
한국문화교육
목표
  • 한국 사회와 문화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일상생활의 적응력 향상
내용
  • 한국 문화 이해를 위한 창작 활동 중심의 한국 전통 예술 교육
  • 한국 사회 이해력 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연계 현장 체험 학습 활동